프로야구 규칙 파헤치기: 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았을 때 판정

안녕하세요! 오늘은 프로야구 경기 중 흔치 않지만 궁금증을 자아내는 상황, 바로 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았을 때의 판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1. 기본 원칙: 수비 방해
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으면 기본적으로 주자의 수비 방해로 간주됩니다. 이는 주자가 수비 플레이를 하려는 야수를 방해했다고 보기 때문입니다.
2. 상황별 판정
하지만 모든 상황에서 동일한 판정이 내려지는 것은 아닙니다. 몇 가지 중요한 기준에 따라 판정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* 주자의 의도적인 접촉: 주자가 고의적으로 타구를 건드렸다고 심판이 판단하면, 해당 주자는 아웃됩니다. 또한, 타자 주자의 진루도 불허되고 타자에게는 타자 아웃이 선언됩니다.
* 주자의 피할 수 없는 상황: 주자가 타구를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 심판이 판단하면, 이는 수비 방해로 간주되지 않습니다. 이 경우, 공은 데드볼이 되고 주자와 타자는 타격 시의 베이스로 돌아갑니다.
* 내야수 접촉 후 맞았을 경우: 만약 타구가 내야수에게 먼저 맞고 굴절되어 주자에게 맞았을 경우에는 수비 방해로 보지 않습니다. 이때도 데드볼이 선언되고, 주자와 타자는 원래의 베이스로 돌아갑니다.
* 페어 지역 vs 파울 지역: 타구가 페어 지역에서 주자에게 맞았을 때 수비 방해가 적용됩니다. 만약 파울 지역에서 맞았다면, 이는 단순한 파울볼이 됩니다.
3. 예시 상황
좀 더 이해를 돕기 위해 몇 가지 예시 상황을 살펴보겠습니다.
* 주자, 공을 피하려 했지만 맞았을 때: 2루 주자가 타자의 강한 땅볼을 피하려 했지만 미처 피하지 못하고 공에 맞았습니다. 심판은 주자가 피하려는 노력을 보였다고 판단, 데드볼을 선언하고 주자와 타자 모두 각자의 베이스로 돌아갑니다.
* 주자, 일부러 공에 몸을 갖다 댈 때: 1루 주자가 병살 플레이를 막기 위해 일부러 타구를 자신의 몸에 맞혔습니다. 심판은 명백한 수비 방해로 판정하고, 1루 주자는 아웃, 타자도 타자 아웃 처리됩니다.
* 내야수 글러브 맞고 주자에게: 타자의 강한 타구가 유격수의 글러브를 스친 후 2루로 뛰던 주자에게 맞았습니다. 이 경우, 공이 야수에게 닿은 후 맞았기 때문에 데드볼이 선언되고, 주자와 타자는 원래의 베이스로 돌아갑니다.
4. 기록 방법
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아 아웃되는 상황은 흔치 않기 때문에, 이를 기록하기 위한 별도의 기호가 존재합니다. 일반적으로 타자가 맞으면 'χ', 주자가 맞으면 'Χ'로 표기하며, 아웃된 베이스 번호를 함께 기록합니다. (예: 2루 주자가 타구에 맞아 아웃 → Χ-2)
마무리
타자가 친 공에 주자가 맞았을 때의 판정은 상황에 따라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, 기본적인 원칙은 주자의 수비 방해 여부에 있습니다. 심판은 주자의 의도,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는지, 야수의 접촉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공정한 판정을 내립니다.